■ 방송 : YTN 라디오 FM 94.5 (09:00~10:00) ■ 진행 : 조태현 기자 ■ 방송일 : 2025년 7월 21일 (월요일) ■ 대담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혜경 대리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를 바랍니다. ◆ 조태현 기자(이하 조태현) : 가장 맛있고 값싼 제철 식품은 무엇인지 한 주간 재래시장과 대형마트의 생생한 물가 정보를 살펴보는 시간, <장바구니 생생 물가>입니다. 오늘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혜경 대리와 함께 합니다. 대리님, 안녕하세요?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혜경 대리(이하 김혜경) : 네 안녕하세요. ◆ 조태현 : 주말 사이 폭우가 지나가면서 전국 곳곳에서 크고 작은 피해가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농작물은 이러한 날씨 영향을 더 받지 않았을까 걱정이 됩니다. 한 주 농수산물 가격 동향은 어떠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김혜경 : 이번 폭우에 다들 큰 피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채소류의 경우 애호박, 파프리카, 오이, 감자가 저렴했습니다. 애호박의 경우 개당 1,100원으로 10일전 대비 24% 저렴했으며 파프리카의 경우 1,300원으로 7% 저렴했습니다. 다다기 오이의 경우 10개 기준 7,700원으로 5%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감자의 경우 수미감자 100g 기준 340원으로 전순 대비 11% 가격이 내려갔습니다. 감자는 요즘 주산지가 충남에서 강원지역으로 이동하는 시기입니다. 주산지 이동으로 인해 물량이 소폭 감소하였지만 정부 할인 지원과 마트 자체 할인 행사 등으로 인해 가격이 전순 대비 저렴하였습니다. ◆ 조태현 : 여름 감자는 찐 감자가 포슬포슬하니 참 맛있죠. 가격이 저렴해졌다 하니 반가운 소식입니다. 가격이 오른 품목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 김혜경 : 네. 가격이 오른 품목으로는 브로콜리, 양배추, 상추와 깻잎이 있었습니다. 브로콜리는 개당 2,300원으로 10일 전 대비 13% 가격이 올랐으며 양배추의 경우 3,800원으로 14% 가량 비쌌습니다. 양배추 역시 주 출하지가 강원권으로 이동하는 시기에 있습니다. 또한 주산지 지역의 가뭄과 폭염의 영향으로 생육에 영향을 받아 가격이 올랐습니다. 상추의 경우 100g당 1,200원으로 11%가량이, 깻잎의 경우 2,660원으로 6% 가격이 상승 ▲KOTRA 김영석 차장 ▲홍콩한인회 조성건 제52대 회장 한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KJ 거상[巨商] HK Ltd와 KOTRA 홍콩무역관과 협력하여 운영한 K-브랜드 팝업스토어가 홍콩 최고급 백화점 SOGO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이번 행사는 지난 6월 11일부터 24일까지 2주간 진행됐으며, 연간 3,0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SOGO에서 한국의 K-뷰티 및 K-헬스케어 제품을 집중적으로 소개해 현지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이번 팝업스토어에는 ▲Meideme(메이드미) ▲Premint(프레민트) ▲Docsmedi(닥스메디) ▲Chilmong(칠몽) ▲Your Vet(유어벳) ▲Numbers 148(넘버148) ▲Oliz(올리즈) 등 총 7개 우수 중소기업 브랜드가 참가했다. 이중 메이드미의 스킨케어 제품과 프레민트, 닥스메디의 헬스케어 제품은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구매 호응을 얻으며, K-퀄리티의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SOGO 관계자는 “한국 제품 특유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감각적인 디자인이 홍콩 시장의 고급스러운 소비 니즈와 잘 어우러졌다”며, “한국 브랜드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중소기업 해외 진출의 지속가능한 모델 구축이번 행사는 단순한 제품 전시를 넘어 현지 유통망을 보유한 KJ [巨商] 거상 HK Ltd이 KOTRA 홍콩무역관과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글로벌 진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참여 기업들은 행사 기간 동안 현지 유통 바이어 및 파트너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했으며, 일부 기업은 실제 유통 계약 체결로 이어지는 성과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KJ [巨商] 거상 HK Ltd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이 단발성 이벤트가 아닌 지속 가능한 유통 생태계 구축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통해 K-브랜드의 세계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행사 기간 중에는 홍콩 내 주요 한인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