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한국고용정보원, 청년 쉬었음 보고서 발간과거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4회 작성일 25-05-24 15:53

본문

한국고용정보원, 청년 쉬었음 보고서 발간과거보다 한국고용정보원, 청년 쉬었음 보고서 발간과거보다 구직활동했던 비중 확연히 줄어일할 능력이 있지만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15~34세)이 늘어나는 가운데 과거쉬었음 인구보다 여성과 고학력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원인과 최근의 특징’ 보고서를 보면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청년은2024년 기준59만명으로 2019년 39만3000명 대비 19만7000명가량 늘었다. 연령대를나눠볼때 지난해 기준 15∼24세의 쉬었음 남성이 57.7%, 25∼34세는 59.1%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5년 각각 60.0%, 65.0%에서 모두줄어든 것이다. 여성 비중이 확대된 결과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보고서에는한국고용정보원이 올해 3월 발표한 쉬었음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망라한 내용이 담겼다. 당시 실태조사는 1년 이상 쉬었음경험이 있는 청년 3189명을 대상으로 했다.‘쉬었음’은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일자리가 없으면서 구직활동이나 진학 준비를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중지난 1주일 활동 상태에 ‘그냥 쉬었음’이라고 응답한 경우에 해당한다. 지난해 기준 쉬었음 청년 저연령대(15∼24세) 경우 고졸 비중이 70% 전후로 높았고, 25∼34세는 대졸 이상 비율이 50%로 높았다. 2019년 대비 고졸 미만과 고졸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대졸 이상 고학력층의쉬었음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고학력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져 일자리 미스매치가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구직 경험이 없다는 응답도 과거 대비 크게 늘었다. 지난해 쉬었음 상태 직전 구직을 한 비율은 29.1%로 2015년(41.8%) 대비 12.7%포인트나 줄었다.조사일 직전 1주일간 직장을 원했다고 응답한 쉬었음 청년 중 ‘직장이나 일이 주어졌다면 시작할 수 있었는지’ 질문에2015년에는 99.9%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지난해에는‘그렇지 않다’고 답한 응답이 15세~24세는 한국고용정보원, 청년 쉬었음 보고서 발간과거보다 구직활동했던 비중 확연히 줄어일할 능력이 있지만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쉬었음’ 청년(15~34세)이 늘어나는 가운데 과거쉬었음 인구보다 여성과 고학력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청년층 쉬었음 인구 증가 원인과 최근의 특징’ 보고서를 보면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청년은2024년 기준59만명으로 2019년 39만3000명 대비 19만7000명가량 늘었다. 연령대를나눠볼때 지난해 기준 15∼24세의 쉬었음 남성이 57.7%, 25∼34세는 59.1%를 차지했다. 이 비중은 2015년 각각 60.0%, 65.0%에서 모두줄어든 것이다. 여성 비중이 확대된 결과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보고서에는한국고용정보원이 올해 3월 발표한 쉬었음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망라한 내용이 담겼다. 당시 실태조사는 1년 이상 쉬었음경험이 있는 청년 3189명을 대상으로 했다.‘쉬었음’은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일자리가 없으면서 구직활동이나 진학 준비를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 중지난 1주일 활동 상태에 ‘그냥 쉬었음’이라고 응답한 경우에 해당한다. 지난해 기준 쉬었음 청년 저연령대(15∼24세) 경우 고졸 비중이 70% 전후로 높았고, 25∼34세는 대졸 이상 비율이 50%로 높았다. 2019년 대비 고졸 미만과 고졸의 비중은 감소한 반면, 대졸 이상 고학력층의쉬었음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고학력 청년층의 눈높이에 맞는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해져 일자리 미스매치가 강화됐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구직 경험이 없다는 응답도 과거 대비 크게 늘었다. 지난해 쉬었음 상태 직전 구직을 한 비율은 29.1%로 2015년(41.8%) 대비 12.7%포인트나 줄었다.조사일 직전 1주일간 직장을 원했다고 응답한 쉬었음 청년 중 ‘직장이나 일이 주어졌다면 시작할 수 있었는지’ 질문에2015년에는 99.9%가 ‘그렇다’고 답했다. 반면지난해에는‘그렇지 한국고용정보원, 청년 쉬었음 보고서 발간과거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