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서울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2회 작성일 25-04-23 17:46본문
지난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뜰아래연습장에서 열린 국립국악관현악단 어린이 음악회 ‘신나락 만나락’ 연습실 공개 현장에서 단원들이 주요 장면을 시연하고 있다. 국립극장 제공 “고를 수 없어요. 모두 다 다르게 아름다운 걸요.” 음악이 없는 세상에서 유일하게 노래하는 아이 ‘선율’이. 멀리 일하러 간 엄마를 되찾기 위해 소원을 들어준다는 거인신을 찾으러 떠난 모험길에 ‘악기나무 숲’에서 국악기들을 만난다. 이들은 선율이에게 최고의 악기를 뽑아달라고 말하고는 각자 연주 실력을 뽐낸다. 해금, 피리, 가야금, 대금까지. 이내 선율이는 답한다. “서로 힘을 합치면 더 아름다운 연주를 할 수 있을 거예요.”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이 새롭게 선보이는 어린이 음악회 ‘신나락 만나락’이 관객과 만난다. 바다 아래 흙을 삽으로 떠서 제주도를 만들었다는 여신 ‘설문대할망’ 설화를 모티브로 한다. 작품은 주인공 선율이가 거인신을 찾아 떠나며 예상치 못한 음악 세상에서 친구들을 만나고, 여러 국악기가 지닌 소리와 매력을 접하게 되는 과정을 담았다. 이번 공연을 위해 ‘국악 베테랑’ 창작진이 뭉쳤다. 판소리 창작자이자 ‘판소리아지트 놀애박스’ 대표인 박인혜가 연출을 맡았다. 4명의 배우와 국립국악관현악단 단원으로 구성된 10인조 연주단이 함께 하며, 어린이 공연답게 퍼펫(인형)을 활용했다. 배우진에는 전문 퍼펫티어(인형조종자)도 포함됐다. 지난 14일 기자들과 만난 박인혜 연출은 “작위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아이들에게 악기를 보여주고 싶다는 목표가 있었다”며 “공간마다 그 공간을 상징하는 악기들을 배치하고, 그 장면을 퍼펫과 연결하는 유기성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2004년부터 어린이를 위한 공연을 꾸준히 제작해 왔다. 특히, ‘엄마와 함께하는 국악보따리’가 좋은 반응을 얻었다. 오경자 악장은 “동요를 주제로 국악기로 연주했다”며 “그때 아이들이 국악기를 잘 모르니 공연 전 로비에 악기를 배치하고, 공연장으로 들어오는 어린이들에게 악기를 만져볼 수 있는 시간을 줬는데 인기가 많았다”고 밝혔다. 이번에는 공연 안에 다양한 국악기들에 대한 설명을 자연스럽게 녹여 내 아이들의 이해를 도울"우리에게는 Planet B(제2의 지구)가 없기에, Plan B(플랜 B)또한 없다." 기후위기와 관련된 유명한 표어 중 하나입니다. 끊임없이 생산하고 끊임없이 성장할 것을 강요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어떤 플랜 A를 선택해야 할까요? 유일하고 유한한 지구를 함께 살아가는 행성으로 만들기 위한 지구를 위한 플랜 A를 제안합니다. <기자말>[그린피스 신민주 캠페이너]▲ 지난 14일 경남 함양군 백전면 50리 왕벚꽃터널에 밤새 내린 눈이 하얗게 쌓여있다ⓒ 연합뉴스 정신없는 일상을 보내던 중 벚꽃이 만개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잠시 짬을 내서 오래간만에 꽃 구경을 하러 갔다. 날이 좀 흐리고 비가 좀 왔지만 춥지 않아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연인과 친구, 가족과 함께 벚꽃을 구경하러 온 사람들도 많았다. 그리고 그날 밤 눈이 내렸다. 금세 차량 등 구조물 위에 새하얀 눈이 쌓이기 시작했고 피부를 따끔거리게 만드는 우박이 함께 쏟아졌다. 불과 몇 시간 전까지 꽃 구경을 했던 시간이 거짓말같이 느껴졌다. 이날 처음 벚꽃을 봤지만 강풍과 바람, 눈과 우박으로 인해 벚꽃을 볼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깨달았다. 기후위기 시대의 낭만이라는 것은 이토록 짧고 허망한 것일까. 4월 중순, 서울에 눈이 쌓일 만큼 많이 온 것은 기상 관측 이래 최초의 일이다. 4월에 눈이 내리는 것 자체가 손꼽히게 적지만 이번 눈은 우박과 강풍, 추위를 동반하며 쌓일만큼 많이 내렸다는 점에서 더욱 희귀하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이 봄 날씨만은 아니다. 점점 더 자주 우리는 '기상 관측 이래'라는 표현을 마주하고 있다. 예컨대 2024년은 기상 관측 이래 가장 더운 해였고, 사상 처음으로 9월 서울에 폭염 경보가 내렸고, 11월에는 서울 적설 최고치를 찍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할 것 없이 매 순간 '기상 관측 이래'라는 표현을 보고 살게 된 것이다. ▲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와 기후재난이 빈번해지고 있다. 작년 있었던 스페인 대 홍수는 51년만의 최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