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끝이 안보이는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조회 12회 작성일 25-04-07 18:55

본문

끝이 안보이는 줄…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로 1번지 청와대 본관 앞에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 사진촬영 등을 하며 관람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조언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로 파면되면서 차기 대통령의 선택에 따라 대통령 집무실이 청와대로 재이전될 것이란 생각에 청와대 ‘마지막 관람’에 나선 시민들이 몰리고 있다.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첫 주말인 6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로 1번지 청와대 녹지원은 가족 단위 관람객들로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본관 앞에는 100∼150m가량의 대기 줄이 늘어서 있었다. ‘청와대 국민 품으로’라는 문구가 적힌 구조물 앞에도 기념사진을 남기려는 관람객들이 줄을 서 차례를 기다렸다. 시민 최민환(37) 씨는 “청와대가 국민 품으로 온 지 3년 가까이 됐지만 대통령이 다시 청와대로 돌아올 수 있다는 생각에 오늘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했다”면서 “다시 닫힌 공간이 될 수도 있다고 하니 아쉬움이 크다”고 말했다.청와대는 지난 2022년 5월 10일 국민에게 처음 개방됐다.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누적 관람객이 7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 설 연휴에는 6만여 명의 관람객이 청와대를 찾았고, 외국인 누적 관람객도 80만 명에 육박했다. 청와대재단 관계자는 “청와대는 녹지 조성이 잘돼 있어 봄철에 꽃구경하러 오는 관람객이 많다”면서 “평소 주말에는 단체 관람객 예약이 50∼60팀 수준이었는데 이번 주말에는 100팀 가까이 몰렸다”고 설명했다.정치권에서는 조기 대선이 오는 6월 3일로 잠정 결정되면서 대통령 집무실을 어디로 둘 것인가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되고 있다. 짧은 선거기간과 현실성 등을 고려해 현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계속 사용하는 방안, 청와대로 재이전하거나 세종으로 이전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희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청와대는 국민과의 소통에 한계가 있었고, 시설도 전반적으로 노후화돼 있다”면서 “공간 구조 자체가 권위적이고 위계적이라는 비판에다 최근 3년간 개방으로 인한 보안 문제까지 고려하면 대통령 집무실로 다시 사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저널=박나영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월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 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한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은 대선 경선을 위해 발 빠르게 조기대선 체제 전환에 나섰지만 보수 진영 주자들의 지지율을 모두 더해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지지율보다 낮은 상황이다. 당 내부에서는 당 지도부의 사퇴 요구와 동시에 탄핵 찬성파를 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내분 양상도 이어지고 있다. 탄핵 찬반에 대한 국민의힘 내 정치적 의견이 분열된 상황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조기 대선 과정에 어떤 움직임을 보이느냐가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국민 10명 가운데 8명은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평 파면 결정을 받아들이겠다고 답한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서울경제신문 의뢰로 4~5일 전국 만 18살 이상 10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헌재 결정을 '받아들이겠다'는 응답이 81%로 '받아들일 수 없다'(17%)를 크게 앞섰다. '모름·응답 거절'은 2%였다. 특히 보수층에서 헌재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응답은 66%로 수용하지 않겠다(33%)는 응답의 2배에 이르렀다.이에 국민의힘 일각에선윤전 대통령을 향한 탈당 요구가 이어졌다. 김상욱 의원은 7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의힘이) 계엄 사태와 관련해서 국민에게 행동으로 하는 사과는 바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탈당 조치"라고 말했다.조경태 의원은 CBS 라디오에서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지 않으면 (대선은) 필패"라며 "우리가 이기기 위해서는 비상계엄이라는 위헌·위법 행위로 탄핵된 대통령과의 절연은 필연적"이라고 말했다.윤 전 대통령과 '정치적 결별'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권영진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조기 대선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을) 국민의힘과 한 묶음으로 소환해서 선거 구도를 만들려는 게 민주당의 전략"이라며 "정치적으로는 이제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반면에 윤상현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