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1회 작성일 25-05-21 14:11

본문

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 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 임플랜터블/웨어러블 시스템 혁신▲ 성균관대학교 손동희 교수팀과 박진홍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별도의 납땜이나 접합 과정 없이 단면을 붙이기만 하면, 레고 블록처럼 조립되는 '신축성 자가치유(self-healing) 반도체'를 활용한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를 개발했다. 사진은 개발한 자가치유전자회로를 피부에 적용한 전자피부시스템 모습.ⓒ 한국연구재단 제공별도의 납땜이나 접합 과정 없이 단면을 붙이기만 하면, 레고 블록처럼 조립되는 '신축성 자가치유(self-healing) 반도체'를 활용한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는 원하는 대로 기능을 바꾸고 회로를 재배치할 수 있는 '조립형 자가치유 반도체' 기술이다.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 NRF)은 21일 성균관대학교 손동희 교수팀과 박진홍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이같이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 개발을 알리면서 "(이 기술은) 체내 이식과 분해 후 재조립에도 성능을 유지해, 지능형 임플랜터블(Implantable : 체내삽입형이라는 의미로 디지털약, 스마트 콘택트렌즈처럼 체내에 집어넣어 사용하는 기기, 기술을 통칭) 및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우선, 한국연구재단은 이번 연구 배경에 대해 "몸에 착용하거나 체내에 삽입하는 웨어러블 및 임플랜터블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전자소자 역시 유연하고 회복력 있는 전자피부 형태로 진화하고 있지만, 기존의 전자피부는 한 번 설계한 기능과 모양을 바꾸기 어려워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생리 조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시스템 구현에 한계가 있다"면서 "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고 구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에 취약해 채내외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자소자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구성요소와 특성(위)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이를 구성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과 반도체 나노복합재. (가운데)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기계적인 안정성.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는 30%의 인장에 100회 노출되어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기계적 손상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 임플랜터블/웨어러블 시스템 혁신▲ 성균관대학교 손동희 교수팀과 박진홍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별도의 납땜이나 접합 과정 없이 단면을 붙이기만 하면, 레고 블록처럼 조립되는 '신축성 자가치유(self-healing) 반도체'를 활용한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를 개발했다. 사진은 개발한 자가치유전자회로를 피부에 적용한 전자피부시스템 모습.ⓒ 한국연구재단 제공별도의 납땜이나 접합 과정 없이 단면을 붙이기만 하면, 레고 블록처럼 조립되는 '신축성 자가치유(self-healing) 반도체'를 활용한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는 원하는 대로 기능을 바꾸고 회로를 재배치할 수 있는 '조립형 자가치유 반도체' 기술이다.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 NRF)은 21일 성균관대학교 손동희 교수팀과 박진홍 교수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이같이 '맞춤형 바이오 전자회로' 개발을 알리면서 "(이 기술은) 체내 이식과 분해 후 재조립에도 성능을 유지해, 지능형 임플랜터블(Implantable : 체내삽입형이라는 의미로 디지털약, 스마트 콘택트렌즈처럼 체내에 집어넣어 사용하는 기기, 기술을 통칭) 및 웨어러블 기기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우선, 한국연구재단은 이번 연구 배경에 대해 "몸에 착용하거나 체내에 삽입하는 웨어러블 및 임플랜터블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전자소자 역시 유연하고 회복력 있는 전자피부 형태로 진화하고 있지만, 기존의 전자피부는 한 번 설계한 기능과 모양을 바꾸기 어려워 사용자의 신체 부위나 생리 조건에 따른 개인 맞춤형 시스템 구현에 한계가 있다"면서 "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늘어나고 구부러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에 취약해 채내외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자소자 개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구성요소와 특성(위)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이를 구성하는 탄소나노튜브 전극과 반도체 나노복합재. (가운데)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기계적인 안정성. 신축성 자가치유 트랜지스터는 30%의 인장에 100회 노출되어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기계적 손상 후에도 스스로 회복할 수 NRF, 자가치유성 전자회로 기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