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페이지하단 바로가기

중고장터

[ 김경림 기자 ] 새미래민주당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조회 10회 작성일 25-04-18 13:25

본문

[ 김경림 기자 ] 새미래민주당 [ 김경림 기자 ] 새미래민주당 이낙연 상임고문이 17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새미래민주당, 개헌연대 국민대회’에서 시국강연을 하고 있다. 2025.4.17 / 연합뉴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지난 17일 연대 의지를 밝혔다.이 상임고문은 이날 용산구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개헌 연대 국민 대회'에 참석해 "3대 국가 과제(위기극복, 정치개혁, 사회통합) 해결을 위해 제 모든 것을 쏟을 각오가 돼 있으나, 이 일은 어느 한 세력의 힘만으로는 되지 않는다"면서 "뜻을 같이하는 세력이면 그 누구와도 협력하겠다"고 말했다.이 상임고문은 다만 "권력만을 위한, 권력을 잡기 위한, 또는 권력을 뺏기지 않기 위한 이합집산에는 관심이 없다"며 "외롭다고 아무나 손잡지 않겠다"고 강조했다.이 상임고문은 자신이 탈당한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정부가 나서 미국 관세 협상을 하려는데 그 협상을 하지 말라는 세력은 도대체 어느 나라 정당인가"라며 "혹시 잠재적 경쟁자(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점수를 따서 자기들 대선에 어려움이 생길까봐 훼방을 놓는가. 그런 못난 정치를 끝내라"고 비판했다.이날 민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법을 두고는 "헌법에 정해진 임기를 하위 법률로 맘대로 늘리겠다는 것으로, 그러고도 국정을 맡겨달라고 국민에게 호소할 수 있는가"라며 "그런 난폭한 짓 좀 그만하라. 우정으로 말씀드린다"고 말했다.국민의힘을 향해서는 "계엄에 대해 처절히 반성하고 국민에게 사과해야지, 아직도 탄핵 반대나 계엄 불가피성 등 정신 나간 소리를 한다"며 "그러면서 무슨 대선에 임하나"라고 지적했다.이어 "국민의힘은 탄핵으로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이제는 버리라"며 "정당 해체 수준의 개혁을 하지 않고는 국민의 신임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이 상임고문은 제3지대 연대를 통해 이번 대선을 치르고 개헌을 이뤄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그는 "진영이 나라를 살려주지 못한다. 통합형 지도자를 대통령으로 뽑아 그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서게 된 법정에서도 모든 범행을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와 범민주·진보 정당들이 "헌법을 파괴한 윤석열이 위헌·위법 행위를 인정하지도, 사과하지도 않는다"며 '내란 사태' 종식을 위한 책임자 처벌과 제도 개혁을 촉구했다.1700여 개 시민단체가 모인 내란청산·사회대개혁 비상행동과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등 8개 정당은 17일 서울 영등포 국회의원회관에서 공동정책토론회를 열고 "내란 종식과 헌정질서의 회복은 이제 시작"이라며 파면 이후 사회 개혁을 위한 12개 분야와 118개 과제를 제시했다.서채완 비상행동 공동상황실장은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도 윤 전 대통령을 비롯한 비상계엄 동조세력은 사태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내란세력 및 부역자들이 자신들의 위헌·위법·부당행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공식 사과도 하지 않고 있다. 특히 내란수괴인 윤석열은 국민 계몽을 위한 조치였다는 식으로 강변하며 진정성 있는 사과도 책임 인정도 하고 있지 않다"고 꼬집었다.서 실장은 윤 전 대통령 측이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을 방해할 수 없도록 비상계엄 관련 기록물 봉인을 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독일의 경우 권한을 남용하던 사법경찰관들에 대해 특검법을 만들어 피해자가 사건 관련 기록들을 접근할 수 있게 했다"며 "비상계엄으로 인해 기본권을 침해받은 국민이라면 누구든지 진실을 알 권리를 보장받아야 하므로 내란 관련 기록물에 대한 접근을 막을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기 앞서 정문 앞에서 지지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시민사회와 정치권은 군과 경찰, 검찰 등 비상계엄 연루 기관들의 개혁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언론인 등을 체포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는 국군방첩사령부를 해체하고 필수 기능은 제3의 기관으로 나눠 이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헌법과 계엄법을 국제인권기준에 부합하도록 개정해 계엄 선포를 [ 김경림 기자 ] 새미래민주당